💡 구글애널리틱스4 (Google Analytics 4, GA4) 에서 카페24 마케팅 효율 분석이 필요하신가요? GA4를 활용해 어떤 마케팅 매체가 효율적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Estimated reading time: 5 minutes
Table of contents
1. 들어가며
마케팅을 진행 할 때 어떤 마케팅 매체를 통해 매출이 발생했는지 분석이 필요합니다. 메타 광고를 통한 유입인지, 네이버 키워드 광고를 통해 구매가 발생했는지 알 수 있어야 마케팅 예산에 대한 계획과 ROI 분석도 가능해집니다.
대표적인 궁금증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 메타, 구글, 네이버 중 효율적인 광고 매체를 분석하고 싶어요.
- 카페24에 GA4 전자상거래 세팅을 하고 싶어요.
- 네이버 검색으로 유입한 고객이 원래는 메타 광고를 통해 처음 유입되었는지 알고 싶어요.
- 네이버 키워드 광고를 사용하고 있는데, 광고 유입인지 자연 검색 유입인지 알고 싶어요.
- 배너 광고 중 어떤 배너를 통해 구매가 일어났는지 알고 싶어요.
위 궁금증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1) GA4 전자상거래 세팅과 2) UTM을 통한 마케팅 유입 링크 세팅이 필요합니다.
2. 카페24 GA4 전자상거래 세팅하기
GA4 전자상거래 세팅이란, 자사몰의 구매 내역을 GA4와 연동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자사몰과 GA4 구매 내역이 연동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보고서에서 총수익 등 구매 관련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카페24에서 GA4 전자상거래 세팅을 하기 위해서는 GTM(Google Tag Manager, 구글 태그 매니저) 세팅도 함께 필요합니다.

GTM 세팅을 통해 네이버페이 등 간편 결제를 통한 구매 내역도 GA4 전자상거래에서 함께 분석할 수 있습니다.
카페24 전자상거래 세팅이 필요하신 경우, 댓글이나 오픈 채팅으로 문의 남겨 주시면 안내드리겠습니다. (소정의 비용 발생)
3. UTM 사용하여 마케팅 매체 유입 분석하기
전자상거래 세팅을 하더라도 UTM을 사용하지 않으면 마케팅 매체 분석이 어렵습니다.
UTM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문제점은
- 인스타그램 광고를 통한 유입 vs 인스타그램 프로필 링크를 통한 유입
- 네이버 키워드 광고를 통한 유입 vs 네이버 자연 검색을 통한 유입
과 같이 광고를 통한 유입인지 자연스러운 검색, 리퍼러(링크) 유입인지 구분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구글 광고의 경우에는 GA4와 연동되어 google/cpc , google/organic 와 같이 자동으로 구분을 해주지만, 메타나 네이버 광고의 경우에는 랜딩 URL에 UTM을 사용해서 광고 유입인지 미리 구분을 해줘야 합니다.

네이버 키워드 광고를 사용하고 있지만 네이버 검색 유입이 모두 organic으로 잡힌다면 어떤 검색 유입이 광고 성과인지 분석할 수 없겠죠? 그렇기때문에 UTM을 사용해 랜딩 URL을 구분해야 합니다.
네이버 키워드 광고 UTM의 예: www.hongppo.com?utm_source=naver&utm_medium=cpc&utm_campaign=basic&utm_content={keyword}&utm_term={query}
위 링크에서 source, medium은 naver/cpc 가 되며, 수정 없이 고정값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medium 값이 cpc여야 GA4에서 유료 키워드 광고로 인식)
campaign은 자유롭게 변형해서 사용하면 되며, content와 term 값은 고정값입니다. 위와 같이 사용해야 어떤 키워드로 유입되었는지 기록되기 때문입니다.
그외에도 메타 배너 광고에서 효율적인 배너를 분석하거나(content) 캠페인별 분석 등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내 가이드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4. GA4 탐색 보고서에서 매체 효율 분석하기
만약 메타 배너 광고를 통해 우리 자사몰에 처음 방문한 고객이 며칠 뒤 네이버 자연 검색을 통해 다시 자사몰을 재방문해서 구매를 했다면 이는 어떤 매체의 기여라고 봐야 할까요? 당연히 메타 배너 광고의 기여라고 봐야겠지만, 마지막 유입만 분석했다면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첫 사용자 소스/매체와 세션 소스/매체를 비교해서 보면 좋습니다. 첫 사용자 소스/매체는 말 그대로 처음 방문했을 때의 유입 매체이며, 세션 소스/매체는 가장 최근 방문의 유입 매체입니다. (물론 한 번만 방문했을 경우 구분이 되지 않으며, 3번 이상 재방문했다면 중간 매체는 알 수 없다는 한계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경우 인스타그램 광고로 첫 방문 이후 구글 키워드 광고로 재방문 후 구매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구글 키워드 광고만이 아니라 인스타그램 광고의 기여도가 더 높다고 보는게 맞을텐데요,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광고 매체의 기여도를 분석하게 됩니다.
5. 마무리
제목과 내용에 카페24를 언급하긴 했지만, 위 내용은 일반적인 모든 사이트, 자사몰(아임웹 등)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내용입니다. 마케팅 매체 효율 분석 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카페24, 아임웹, 워드프레스 등 자사몰 GA4 전자상거래 세팅이나 GA4 분석 컨설팅이 필요하시다면 댓글이나 오픈 채팅으로 문의 남겨 주시면 안내드리겠습니다. (소정의 비용 발생)
감사합니다.